인플레이션 우려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또한, 최근 금값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투자처로 찾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 시간에는 금 투자 방법, 금값 오르는 이유, 그리고 금 시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금값 오르는 이유?
금값이 오르는 주요 이유는 경제 불안정과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는 전쟁이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안전한 금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면 금 수요가 늘어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 가치가 떨어지지만, 금은 가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을 대비해 금을 많이 찾는 것도 중요한 원인입니다.
중앙은행들이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금을 대량 매입하면서 수요가 증가했고, 금은 채굴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금값을 더욱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금 투자 방법
1. KRX 금현물 거래
KRX 금현물 시장은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금 거래 시장으로,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KRX 금시장은 실물 금에 투자하는 방식이므로, 안전자산으로서 금을 소유하고 싶다면 좋은 방법입니다. 거래세가 면제되고, 금값과의 괴리율이 적어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2. 골드뱅킹 (은행 골드통장)
골드뱅킹은 은행에서 제공하는 골드 통장을 통해 금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실물 금을 소유하지 않고도 금 시세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방식으로,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물로 금을 찾으려면 수수료가 발생하니, 현물 금을 소유하고 싶다면 다른 방법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금 펀드 및 금 ETF
금 펀드와 금 ETF는 금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펀드나 ETF를 통해 금 생산 기업이나 금 관련 자산에 투자할 수 있으며, 주식 시장을 통해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금값 변동 외에도 기업의 경영 성과에 따라 수익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4. 미니금 (소액 금 투자)
최근엔 미니금이라는 소액 투자 방식도 인기입니다. 1g 단위로 적은 금액으로도 금에 투자할 수 있어 부담이 적습니다. 특히 삼성증권 등의 증권사에서는 미니금을 통해 금 현물 거래를 할 수 있어, 초보 투자자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국제 & 국내 금 시세 비교
출처: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
1. 국제 금 시세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가격으로 책정됩니다. 2025년 2월 6일 기준,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2,869.63달러입니다. 이를 1g으로 환산하면 약 133,811원입니다.
* 계산식
- 2,869.63/31.1035 = 약 92.26달러
- 92.26달러x1,450.28원(환율) = 약 133,811원
2. 국내 금 시세
국내 금 시세는 1g당 133,520원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국제 금 시세와 비교해 차이가 크지 않으며, 이는 환율 변동 및 국내 거래 수수료 등의 차이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금 한돈 시세
순금 한돈(3.75g)의 경우 현재 500,700원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과거 한돈이 25만원 정도였던 시절에 비해 현재 금값은 거의 2배 올랐습니다.
현재 국제 시세는 1g당 약 133,811원이고, 국내 시세는 133,520원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금 투자 방벙과 금값 오르는 이유 그리고 금 시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금은 안전자산이긴 하지만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해야 하며, 다양한 투자 방법 중 자신의 성향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